안녕하세요,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를 나누는 노란잠수함입니다.
"다들 교통할인카드 발급했어요?" 점심시간에 동료들에게 물었더니, 저를 물끄러미 쳐다보며,
"복잡해서 그런거 안 해요." "혜택이 별로 없던데요." "이것저것 많아서 뭐가 좋은지 모르겠어요." "알아보기 귀찮아서 신용카드 대중교통 10% 할인받고 말아요."
20~30대 동료 10여 명의 반응이 놀라웠습니다.
뉴스에서 그렇게 시끄럽게 알려줬는데도 '잘 몰라요'가 대부분의 반응이었어요.

내가 4월말에 알아봤을 때 주5일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하는 직장인이면, 분명 20% 이상 할인 혜택이 있었는데?
내가 잘못 알아본 건가?
일단, 저는 K-PASS 체크카드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아 사용 중입니다.
그래서 다시 자세히 알아보고, 정리합니다.
내가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, 없는지 확인해보고, 매일 내는 교통비 줄여봅시다.
알뜰교통카드, 기후동행카드, K-PASS 등 여러가지 교통할인카드가 있습니다.
그 중 K패스에 대해 알아봅니다.

K패스 K-PASS
교통 할인 카드
K-패스 시행일
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
이전에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는 K패스로 전환됩니다. (전환 방법은 아래 정리)
K-PASS
K패스는 월 15회 ~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, 20~53%의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.
특이하게도 교통카드 사용 횟수 월 15회 이상, 월 60회 이하라는 제한이 있습니다.
* 할인율
일반인 : 20%, 청년(만 19~34세) : 30%, 저소득층 53%
K패스 가입 조건
K패스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
전국 모든 대중교통입니다.
시내버스, 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, 신분당선 등 모두 이용 가능합니다.
알뜰교통카드를 K패스로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K-패스 회원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요.
앱에서는 2024년 4월 30일까지, 홈페이지에서는 2024년 6월 30일까지 전환 가능합니다.
K-패스 카드 무엇으로 발급 받아야 하나?
K패스 카드는 새로 발급받아야 사용이 가능합니다.
기후동행카드는 편의점에서 팔았던 것 같은데요.
그래서 어디서 사나? 했더니, 신용카드 회사에서 발급을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응???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라고?
그래서 이용 중인 카드사에 전화를 했더니, 신용카드만 안내 및 추천을 합니다.
신용카드는 연회비가 최소 1만원인데, 새 신용카드로만 사용이 가능하다고?
이게 무슨 할인 혜택이야? 정부에서 급하게 내놓은 정책이라 이런가?

아닙니다.
K패스카드는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로 발급이 가능합니다.
체크카드는 비용이 전혀 없어요.
신용카드는 카드마다 연회비가 있으니, 확인 바랍니다.
* K-PASS 카드 발급 카드사
신한카드, 우리카드, 하나카드, KB국민카드, NH농협카드, 광주은행, IBK기업은행, 케이뱅크, 현대카드, 삼성카드, BC카드, DGB유페이, 이동의 즐거움
K-패스 체크카드, 신용카드 혜택
K패스는 월 15회 ~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, 20~53%의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.
체크/신용 카드마다 10~15% 대중교통 할인 혜택이 있는 경우는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.
또한 카드마다 통신, 커피, 편의점, 쇼핑 등 일상 할인혜택을 함께 제공하니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.
K패스 카드 받은 후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필수
저도 K-PASS 카드 받고, 모르고 이틀 사용했는데,
혹시나 해서 확인해보니, K-패스 회원가입을 해야 하더라구요.
그리고 THE 경기패스, 인천 I-패스는 K패스 홈페이지 가입 시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
필수!!!
K-패스 홈페이지나 앱에 회원가입을 하고, K패스 카드를 등록해야 교통카드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1) 포털사이트에 'K패스' 검색합니다.
2) 회원가입을 위한 준비물이 있습니다.
본인 명의 휴대폰, K-패스 카드
K-PASS 카드 번호 입력하고 [카드유효성체크]를 합니다.
3) 가입완료!!
카드사별 환급일이 다릅니다.
1) 신한카드, 우리카드, 삼성카드, IM 원패스는 영업일 7~9일 이내 지급합니다.
2) 국민카드, NH농협카드, 케이뱅크, 모바일이즐, 티머니는 회사마다 정한 날짜에 지급합니다.
3) 하나카드, BC카드, IBK기업은행, 현대카드, 광주은행은 결제일에 지급합니다.
대도시에 살면, 매일 사용하게 되는 대중교통 비용이 꽤 됩니다.
세금내는 국민이면, 정부에서 시행하는 정책을 이용해야겠죠?
내 세금으로 돌아가는 정책이니까요.
이렇게라도 돌려받아야죠.
'정보공유_알아두면 쓸모있는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리어 에어컨 타이머 설정 방법 (꺼짐 예약) (3) | 2024.07.28 |
---|---|
케이뱅크, 토스, 카카오뱅크, 예금 적금 금리 비교 (0) | 2024.05.26 |
윈도우 메모장이 없어졌어요. 메모장 복구하기 (31) | 2024.05.13 |
교통사고 12대 중과실 중대법규위반 (0) | 2024.01.14 |
네이버 블로그 뷰 검색 요청하기, 검색 누락 확인하기 (0) | 2023.11.23 |